참조형 객체, String, StringBuilder 비교해보기
·
Dev/Java
자바에서 기본형은 int, long, double, boolean 등이 있고참조형은 클래스, 객체, String 등이 있다.참조형 데이터는 메모리 주소값을 참조한다.Student s1 = new Student("1번학생", 10, 10);Student s2 = new Student("2번학생", 100, 100);여기서 s1, s2에는 학생 객체의 “참조값”이 저장된다.이 상황에서 만약 배열을 새로 만든 뒤 배열에 학생 객체를 넣는다면 어떻게 될까?List students = new ArrayList();students.add(s1);students.add(s2);배열에서 인덱스로 학생 객체에 접근해서 값을 바꾼다면 배열 안의 학생 정보만 바뀔까? 아니면 배열 바깥의 학생 정보도 바뀔까?list.get(..
[이코테] DFS & BFS 문제 풀이
·
Algorithm/Algorithm
나동빈님의 이코테 수강 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7C9RgOcvkvo&list=PLRx0vPvlEmdAghTr5mXQxGpHjWqSz0dgC&index=3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 DFS / BFS스택 자료구조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나중에 나가는 형식 = 선입후출박스 쌓기를 생각하자!stack = []stack.append(5) # 오른쪽에서 원소 넣기stack.pop() # 가장 오른쪽 원소 제거큐 자료구조먼저 들어 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형식 = 선입선출대기열을 생각하자!from collections import dequequeue = deque()queue.append(5) # 오른쪽에서 원소 넣기queue.popleft() # 가장 왼쪽 원..
[이코테] 그리디, 구현 문제 풀이
·
Algorithm/Algorithm
그리디탐욕법 = 현재 상황에서 가장 좋은 것만 고른다→ 현재 선택이 나중에 미칠 영향은 고려 X큰 수의 법칙import sysinput = sys.stdin.readlineN, M, K = map(int, input().split())number_list = list(map(int, input().split()))number_list = sorted(number_list, reverse=True)first_number_count = (( M // ( K + 1) ) * K ) + M % (K + 1)second_number_count = ( M // ( K + 1) )print(number_list[0] * first_number_count + number_list[1] * second_number_co..
코딩테스트 준비 전 파이썬 문법 총정리
·
Algorithm/PS
나동빈님의 이코테 강의 수강 후 개념을 요약하였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m-9pAwq1o3w&list=PLRx0vPvlEmdAghTr5mXQxGpHjWqSz0dgC 자료형정수형실수형-0.7 → -.7 로 작성 가능-5.0 → -5. 로 작성 가능123.456을 소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 round(123.456, 2)지수 표현10^9 → 1e9지수 표현 방식은 임의의 큰 수를 표현하기 위해 자주 사용됨최단 경로 알고리즘에서는 도달할 수 없는 노드에 대하여 최단 거리를 무한으로 설정한다이때 가능한 최대값이 10억 미만이라면 무한으로 1e9를 사용할 수 있다기본적으로 실수형으로 표현됨 → 정수형 int(1e9)로 변환해서 사용하는게 좋다리스트순서 존재a = [0] ..
알고리즘 성능 평가
·
Algorithm/Algorithm
나동빈님의 이코테 강의 수강 후 개념을 정리하였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m-9pAwq1o3w&list=PLRx0vPvlEmdAghTr5mXQxGpHjWqSz0dgC  알고리즘의 성능은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복잡도 개념을 알아야 한다 복잡도 (Complexity)알고리즘의 성능을 나타내는 척도 시간복잡도 : 특정한 크기의 입력에 대하여 알고리즘 수행 시간 분석공간복잡도 : 특정한 크기의 입력에 대하여 알고리즘의 메모리 사용량 분석 → 복잡도가 낮을수록 좋은 알고리즘이다. 그럼 복잡도는 어떤 방식으로 표기할 수 있을까? → 빅오 표기법 Big-O Notation복잡도 표기 방법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항만을 고려한다.차수가 가장 큰 항만 남긴다. (계수 무시) O..
6/16 과거완료 (I had done)
·
English/Grammar In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