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을 직접 타이핑해서 웹페이지를 수동으로 만드는것에 지침.
사람이 웹페이지를 하나하나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많아진 웹페이지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것이 점점 불가능해짐
또한 사이트 방문자에게 웹페이지가 보관된 폴더를 공개할 수 없었기 때문에 웹사이트의 소유자만이 컨텐츠를 생산할 수 있었다. 이런 맥락에서 등장한 기술들...
- PHP
- JSP
- ASP
- Django
- Ruby on Rails
- Node.js
[php 원리 메커니즘]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컴퓨터
웹서버와 php가 설치된 서버컴퓨터
여기서 웹브라우저와 서버가 어떻게 상호작용할까?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index.html 이라고 적으면
저 요청을 받은 서버컴퓨터에 설치되어있는 웹서버는 확장자 html을 보면 그걸 자기가 직접 처리하기 위해 서버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설치되어있는 htdocs라는 디렉토리에서 index.html 파일을 읽어서 바로 웹브라우저에게 전송해주면 웹브라우저는 코드 내용을 해석해서 화면에 표시해준다.
사용자가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index.php 라고 적으면
웹서버는 확장자 php인 파일은 처리하지않음 그러면 웹서버는 그 파일에 대한 처리를 php라는 프로그램에게 위임한다.
php 프로그램은 htdocs 디렉토리 안에 있는 index.php 파일을 열어서 php라는 컴퓨터 언어 문법에 따라서 해석해서 최종적으로 html 파일을 생산한다. 그러면 그렇게 만들어진 html파일을 웹서버가 웹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것을 통해서 과정이 끝난다.
html은 파일이 만들어지면 언제나 똑같이 동작하지만 php는 동적으로 리로드할 때 마다 달라지는 웹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html은 정적이다. php은 동적이다.
'Dev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기초(1)] 변수, 자료형, 리터럴, 실습 (0) | 2022.03.30 |
---|---|
[PHP] 개념 정리...php.net 참고하기 (0) | 2022.03.15 |
HTML & Internet (0) | 2022.03.11 |
[DB] 데이터베이스, MySQL, CRUD 명령어 (0) | 2022.03.11 |
[inheritance] overriding, overloading, this, super, Polymorphism, Access Modifiers, Final, Abstract (0) | 2022.03.11 |